여러분은 평소에 언제 잠들어서 언제 깨어나시나요? 그리고 하루 중 몇 시간을 주무시고 계신가요? 다이어트에는 운동과 식단 말고도 정말 중요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수면’입니다.
우리는 가끔 잠을 오래 자고 일어났는데 오히려 피곤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루 중 저녁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가 우리 몸에서 ‘멜라토닌’이라는 수면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이 시간대에 잠이 들면 더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고, 적게 자더라도 일어날 때 개운한 느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멜라토닌이 억제된 상태에서 잠에서 깨어나게 되면 푹 잤는데도 불구하고 마치 과음한 다음 날처럼 찌뿌둥함을 느끼게 됩니다.
시카고 대학의 한 연구에 의하면 실험자들에게 같은 식단을 먹게 하고, 같은 운동을 하게 하고, 단지 수면시간을 다르게 제공한 결과 8.5시간 수면을 취한 집단이 5.5시간 수면을 취한 집단보다 체지방이 55% 많이 빠졌다고 합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바로 앞서 말씀드린 ‘멜라토닌’이라는 수면 호르몬 때문이었습니다. ‘멜라토닌’은 수면뿐 아니라 체지방 감소에도 관여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또한 스탠퍼드 대학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단 하루의 수면 부족으로도 ‘지방 억제 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단 하루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될 경우 다음날 내 몸이 원하는 음식이 달라지고, 더 달고 더 짜고 자극적인 음식을 원하게 됩니다. 따라서 다이어트를 하려면 가능한 일찍 자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생활 패턴에 따라 하루 7시간 이상의 수면이 힘드시거나, 11시 전에 잠드는 것이 힘든 분들이 계신다면,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수면의 질을 향상하는 방법을 몇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침실의 온도를 낮추는 것입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7~20도 사이의 수면이 가장 이상적인 온도라고 합니다. 우리가 생활하는 기준으로는 아주 낮은 온도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보다 침실의 온도보다 2~3도만 낮춰서 주무시는 습관을 만들어보시는 것만으로도 조금 더 깊은 수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는 침실에 TV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두지 않는 것입니다. 잠이 들기 전까지 TV나 스마트폰을 보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은 우리의 뇌신경회로에 ‘침대에 누우면 TV나 스마트폰을 보게 될 거야’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됩니다. 그렇게 잠들기 힘든 뇌의 상태가 되어버립니다.
우리가 잠들기 30분 전에 TV나 스마트폰을 보는 행동은 3시간을 자지 못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 말은 반대로 30분 정도 전자기기를 보지 않는다면 3시간을 더 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는 말이 됩니다. 잠들기 전 30분을 나의 날씬한 몸을 위해 투자해 보시길 바랍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